록산 게이
이 강렬한 원칙들은 <데어 미>에서도 눈길을 사로잡는데 이것이 소녀들 사이의 불안한 친밀감을 드러내기 때문이다. 이 소설은 몸에 관한 소설이자 완벽함을 향한 열망을 보여주는 소설, 야망에 대한 소설이고 다 드러내고자 하는 욕망에 관한 소설이다. 독자는 이 책에 등장하는 여성들에게 심각한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를 바라게 된다.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이 아무리 눈 뜨고 못 봐주더라도 말이다. … 그들은 악행을 저지르고 그러면서도 서로를 중력처럼 끌어당긴다. 베스는 술에 취해 아디에게 전화해 묻는다.
그때 같이 구름다리에서 놀았던 것 기억나? 서로 몸에 다리 올리고 있던 거? 이제 우리가 얼마나 강해졌는지, 왜 아무도 우리를 이길 수 없게 되었는지 알았고, 우리가 서로를 절대 이길 수 없을 거란 것도 알았잖아. 하지만 우리는 셋을 세면서 서로의 손을 놔주기로 했어. 너란 여자는 언제나 날 속이고 나도 그렇게 하라고 내버려 두니까. 하지만 난 널 바라보았고 교정하기 전에 그 틈이 벌어진 이를 마음껏 내보이며 웃었잖아.
남자들은 정말로 이런 여자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. 어쩌면 그들은 속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. 수많은 여자들이 기꺼이 그런 여자인 척하고 있기 때문이다. (<곤 걸>)
이는 소설 속에서 좋아할 수 없는 여성들에 대해 이제까지 잘 이야기되지 않은 진실이다. 그들은 그런 척하지 않는다. 그들은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인 척 연기하지 않는다. 그들은 그럴 에너지도 없고 그러고 싶은 욕망도 없다. 그들에겐 메이 웰랜드처럼 자신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. … 우리가 좋아하지 못하는 여자들은 그런 여자가 되고 싶은 유혹을 거부하고 대신 그들 자신이 된다. 그리고 선택의 결과를 받아들인다. 그리고 그들로 인해 이 세상에는 읽고 싶은 이야기 하나가 더 탄생한다.
나는 자기의 몸과 자기 자신을 아주 약간이라도 싫어하지 않는 여성을 단 한 명도 만난 적이 없다. 몸에 대한 집착은 불가피함이라는 속성 때문에 인간을 형성하는 조건일지도 모른다.
여성을 남녀차별적이고 멍청하고 한심한 방식으로 그린 형편없는 텔레비전 쇼가 널리고 널렸다. 영화판은 더 심해서 영화에서는 여자 캐릭터를 만들 때 한두 가지 아이디어밖에 떠오르지 않는 것 같다. 여성을 캐리커쳐처럼 과장한 다음 그 캐리커쳐를 우리 목구멍까지 밀어 넣으려고 한다. 그러니 우리가 대중문화에서 이제까지와 다른 여성을 보게 되면, 이를테면 S사이즈 옷을 입지 않거나 남자를 우주의 중심으로 여기지 않는 여성을 보게 되면 우리는 그 한 작품에 열렬히 매달리게 된다. 왜냐하면 우리에겐 가진 것이 그것밖에 없기 때문이다. 모든 종류의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에서 여성을 다루고 있지만 그 중에서 우리가 정말 알 것 같은 여성이 나오는 건 몇 편이나 있는가?
루스는 도망치고 싶었다. 자기 자신으로부터 도망가고 싶었다. 어디를 가건 이렇게 털어놓고 싶었다. 내 자신과 화해할 수 없는 기분이 어떤 건지 알아요? 그녀는 존재하고 싶지 않았다. 그녀는 살고 싶지 않았다. 그녀는 사람들 속에서 자신을 놓아버리고 싶었다. 그녀는 어찌 된 일인지 일상의 공포에 무감각해지고 말았다. 오직 이미지, 수많은 이미지들만이 그녀의 머리에 가득했다. 이 폭력적인 삶을 그녀는 텅 빈 시선으로 그저 바라만 보고 있었다.
/ 프랑스의 페미니즘 이론가 엘렌 식수는 <메두사의 웃음>에서 이렇게 말한다. “여성들은 자신을 텍스트 안에 집어넣어야 한다. 이제까지 자신을 이 세상과 역사에 집어넣었던 것처럼 스스로 그렇게 한다.”
내가 가장 좋아하는 순간은 남자와 어느 정도 사귀고 나서 남자가 희망이 담긴 목소리로 “피임약 복용하니?” 라고 물었을 때 내가 “아니? 그러는 너는?” 하고 답할 때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