🔖 인간이 뜨겁거나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을 때 진짜 소리를 질렀다. 초등학교 4학년 때쯤 배운 생활 지식이다. 나는 차가운 물, 그것도 얼음을 가득 넣은 물을 어떤 음료수보다도 좋아했는데, 가뜩이나 내가 하는 모든 걸 세상이 저지한다고 생각할 무렵이라 저 얘기를 듣자마자 진절머리를 쳤다. 하다하다 물 처먹는 거로도 나를 반대하려고 하는구나! 분했다. 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은 전부 나한테 해롭지? 왜 내가 원하는 것을 성취하려면 인내하고, 생각하고, 노력하고, 행동하고, 반성해야 하지? 어른이 되면 내가 직관적으로, 본능적으로 선택한 것들이 다 옳은 것이 되는 거 아닌가?

나는 정말 신기한 지혜와 현명함이 나에게 저절로 주어질 거라 확신했다. 그래서 판단하고, 적응하고, 때로는 참아내는 능력을 기르지 않았다. 살다 보면 나에 대한 나의 믿음도 그냥 자연스럽게 깊어질 거라고 생각했다. … 아무것도 훈련되지 않고 할 계획도 없는 자신을 향해서 계속 믿는다는 말을 반복하는 것은 정말 무서운 일이다. ‘나는 나를 믿는다.’ 이 말 하나로 나는 내 모든 생각과 행동을 승인하고 스스로를 자주 속였다.

‘위대한 하루’ 같은 것은 어쨌든 내 상상 속 목표니까 한번쯤 실행해볼 만한 일이겠지만 내 일상의 풍경이 될 순 없을 것이다. 기적의 졸부가 되어 좋은 집을 산다 한들 기상 시간부터 글러먹었다. 전엔 그 사실을 인정하기가 지독하게 싫었다. 어떻게든 저 모형에 다가가고 싶었고 그 비슷한 삶을 살고 있다고 남들에게 보이기를 원했다. 그래서 숨겼고, 자책했고, 울었고, 화냈고, 자포자기했고, 결국 모든 것을 비아냥대며 자조에 빠졌다. 저게 다 각각의 독립된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처럼 전부 이어져 있단 사실을 겪어본 사람은 알 것이다.

나는 ‘껍데기만 위대한 하루’를 내 일상으로 만들기 위해 애썼다. 좀 더 구체적인 것을 욕망하고 거기에 맞게 노력하는 방법을 배웠어야 했는데 잘 안 됐다. 이제 크게 바라는 건 없다. 진짜 성취감을 느껴보고 싶다. 거창한 말들에 속지 않고 매일 무언가가 쌓이고 걸러지는 ‘그저 그런 하루’가 필요하다.


💬 (예능을 좋아하지 않아서 한 권을 다 읽고도 예능과 별 상관없는 챕터가 제일 좋았다. 그 부분만 남겨둔다.)